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연수의 역사를 기억합니다.
위치와 행정구역
행정적 구분
우리 고장 연수구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에 속한 구(區)로 인천의 남서쪽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인천의 행정단위는 계양구·부평구·서구·남동구·미추홀구·중구·동구·연수구 등 8개 자치구와 강화군·옹진군 등 2개의 자치군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우리 연수구는 자치구 중 하나랍니다.상대적 위치
연수구의 서쪽은 서해안에 닿아 있습니다. 송도 1동과 송도 2동, 송도 4동, 송도5동, 동춘 1동과 옥련동이 바다와 접하고 있답니다. 연수구의 북쪽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이고, 그 경계선을 이루는 것이 문학산의 능선입니다. 문학산의 동서로 뻗은 능선은 남쪽의 연수구와 북쪽의 미추홀구를 나눠주는 자연 경계선이지요. 연수구의 동쪽은 남동구입니다.행정동, 면적, 인구
연수구의 총면적은 2020년 12월 기준 54.95㎢로 인천광역시 면적의 5%에 당합니다. 연수구에는 선학동, 연수동, 동춘동, 옥련동, 청학동, 송도동 등 모두 6개의 법정동이 있고, 총 15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동 | 면적 (km²) | 인구(명) | 세대(호) |
---|---|---|---|
청학동 | 2.39 | 26,818 | 12,511 |
옥련1동 | 2.15 | 20,949 | 8,287 |
옥련2동 | 1.92 | 21,826 | 7,960 |
선학동 | 2.41 | 18,456 | 8,138 |
연수1동 | 1.66 | 21,834 | 10,380 |
연수2동 | 1 | 22,617 | 9,740 |
연수3동 | 0.86 | 17,847 | 7,604 |
동춘1동 | 3.79 | 19,099 | 6,491 |
동춘2동 | 1.31 | 19,679 | 6,860 |
동춘3동 | 0.72 | 19,411 | 5,807 |
송도1동 | 9.7 | 34,013 | 10,722 |
송도2동 | 3.7 | 36,641 | 11,496 |
송도3동 | 10.74 | 47,414 | 17,515 |
송도4동 | 6.8 | 24,763 | 9,055 |
송도5동 | 5.7 | 29,092 | 10,572 |
연수의 산과 강
문학산
봉재산
청량산
승기천
연수의 기후와 환경
인천의 기후
인천광역시는 서해안의 경기만을 끼고 있음에도, 기후에 있어서는 바다의 영향이 크지 않습니다. 겨울은 한랭건조한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춥고 건조하며, 여름은 고온다습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매우 덥습니다. 봄과 가을에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맑고 건조한 날이 많습니다. 이처럼 인천의 날씨는 전형적인 대륙성 기후의 특성이 강한 중부지방의 기후형에 속합니다.연수구의 기후 : 기온
우리고장 연수구 또한 해안에 접해있으나 전반적으로 해양성 기후의 특성이 미약하고 대륙성 기후의 특성이 강한 편입니다. 하지만 인천에서도 남쪽에 위치하고 있어 인천 평균기온보다 약 0.5 ℃ 높습니다. 연수구의 지난 6년간(2012-2017)의 연평균 기온은 12.67℃ 로 이전 7년(2005-2011)동안의 평균기온인 12.37℃ 보다 0.3℃ 올라갔습니다.강수
지난 6년간 (2012-2017)의 연수구 연평균 강수량은 911.3mm입니다. 2014년부터 2017년 까지 4년동안 강수량이 1,000mm 이하를 기록하고 있어 최근 기후변화현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여름철(7,8월) 강수량은 연강수량의 70%에 이르며, 여름철에 비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평균 상대습도는 74.12%입니다.바람
지난 6년간(2012-2017) 연수구의 연평균 풍속은 2.9m/s이며, 바람은 계절풍의 영향을 크게 받아 겨울에는 북서풍이 강하고 여름에는 주로 남서풍이 붑니다.연수구는 바다에 접한 지역 특성으로 인해 낮에는 해풍(서풍), 밤에는 육풍(동풍)이 불고 있습니다.태풍
8-9월에 우리나라로 북상하는 태풍은 대체로 한반도 남부지역과 한강의 중하류지역에 큰 피해를 주며 동해상으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연수구의 태풍피해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기후변화로 인해 예측이 힘들어지고 있습니다.황사
중국에서 편서풍대를 따라 이동하는 황사현상이 인천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며, 다른 곳에 비해 그 빈도수가 높고, 지속시간도 긴 편입니다. 황사의 평균 일수는 7.5일입니다.365 대기상태
연수구의 맑은 날은 지난 6년(2012-2017) 평균 100.17일이며, 흐린 날은 75.17일, 비오는 날은 약 103일로 나타납니다. 안개 낀 날은 평균 42.17일입니다.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편으로, 바다에 접한 지역의 특성상 해상의 기온이 높아지는 4월부터 발생일수가 증가하여 수온의 차가 큰 6,7월에 안개가 가장 많습니다. 겨울철 평균 적설일수는 23.5일로 이전 평균인 19.43일보다 높아졌습니다.연수의 지형적 특성
연수구의 역사
선사시대
상고/삼국시대
문학산 정상일대는 비류왕이 세웠다는 비류백제(일명 미추홀왕국)의 도읍지라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사기를 보면 비류왕이 문학산 정상에 성을 축조하고 이 성을 방패 삼아 비류백제를 세우고 도읍을 정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비류와 온조는 고구려를 건국한 고주몽(동명성왕)의 아들입니다.남북국시대 ~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ㆍ현대
연수구의 미래
연수구, 지명의 유래
미추홀 彌鄒忽
삼국사기에 명명된 미추홀(彌鄒忽)은 인천의 옛 이름이면서 비류백제의 도읍이었습니다. 사기가 쓰인 고려시대에는 한자의 음을 빌어다 쓰는 가차식 표기였기 때문에 한자를 해석해서 단어를 풀이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습니다. 미추홀을 해석하는 데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는데, 그 가운데 유력한 설로 좁혀진 몇 가지만 소개해보겠습니다.먼우금 遠又邇
조선시대에 인천도호부가 관할하는 지역은 모두 10여 개의 면이었는데 지금의 연수지역 대부분은 먼우금면에 속하였습니다. 지금의 청학동, 옥련동, 동춘동, 연수동 등이 모두 먼우금면에 속해 있었고 문학산 동쪽에 있던 선학동 지역만 부내면(府內面:도호부 직할지역) 관할이었습니다.연수구의 법정동
01. 옥련동
옥련동은 본래 인천부 먼우금면 옥동, 한진리(현재 송도역 부근),옹암리(현재 유원지 입구부근)등 지역입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먼우금, 한나루, 독바위, 송도(일인들이 능허대를 중심한 일대에 소나무가 울창하고 앞에 섬까지 있어 송도라 불렀다)를 병합하여 옥련이라 해서 문학면에 편입시키게 됩니다.02. 선학동
선학동은 문학산의 본래 인천부 구읍면 지역으로 도재 또는 도장이라 불리는 지역이었습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무지물, 늑각부리를 병합하여 도장리라하고 부천군 문학면에 편입시켰다가 1940년 4월 1일 제2차 인천부역 확장때 다시 인천부에 편입하여 일본식으로 무학정이라 부르게 됩니다. 여기서 무학은 문학산이 춤을 춘다는 뜻인데, 여기에 뒷산인 선유봉의 앞자를 빌려, 선학이라는 이름이 쓰이게 되었습니다.03. 연수동
연수동은 본래 인천부 먼우금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부수지, 솔안말, 새터말, 장승배기, 마리 구레매기, 머그미, 새말, 갱고지, 배꼽부리, 함박매를 병합하여 연수리라 해서 부천군 문학면에 편입시켰다가 1940년 4월 1일 제2차 인천 부역 확장때 다시 인천부에 편입되어 일본식으로 연수정이라 부르게됩니다.04. 청학동
청학동은 본래 인천부 먼우금이란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청릉, 뒷골, 물푸레골, 안골, 옥터를 병합하여 청릉과 문학산의 이름을 따서 청학리라 하여 부천군 문학면에 편입시킵니다. 1940년 4월 1일 제2차 인천부역 확장때 다시 인천부에 편입되어 일본식으로 청학정이라 하였고, 해방후 동명 개정으로 1946년 1월 1일부터 청학동이 되었습니다.05. 동춘동
동춘동은 본래 인천부 먼우금면 지역으로 청량산 동쪽이 되므로 동촌 또는 동춘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쇠미, 풀무골, 각골, 자앞, 도굴, 동막을 병합하여 동춘리라 해서 부천군 문학면에 편입시켰다가 1940년 4 월 1일 인천부역 확장때 인천부에 편입하여 일본식으로 동춘정이라 부르게 됩니다. 해방후 동명 개정으로 1946년 1 월 1일부터 동춘동이 되었습니다.06. 송도동
‘송도’는 러일전쟁 당시 옥련동과 동춘동 앞바다에 정박한 일본 군함(송도함)의 이름에서 유래한 명칭입니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송도유원지 앞을 매립하여 조성한 송도국제도시는 그 부근의 이름을 빌려 온 것이죠. 송도국제도시는 간척과 함께 면적과 인구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국내·외적으로 관심이 집중되는 지역입니다.온라인에서 만나는 연수시티투어
온라인에서 우리동네 향토 이야기를 더 듣고 싶다면?